피풀

[나와 소년한국일보] 신현득 선생"50년동안 아침을 함께연나의 오랜벗"

강개토 2010. 6. 27. 19:31
"50년동안 아침을 함께연나의 오랜벗"
15년간 기자로도 몸담아… " 어린이 문화 발전에 큰 몫" 자부심

윤석빈 기자 binys@snhk.co.kr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할아버지 시인 신현득 선생이

본사 편집국에서 50년 동안 이어온

소년한국일보와의 뜻 깊은 인연에 대해

들려 주고 있다. 신현득 선생은

소년한국일보가 우리 어린이 문화

특히 아동 문학이 발전하는 데에

큰 몫을 해 주었다는 자부심을 갖는다고 말했다.

/황재성 기자goodluck@snhk.co.kr

 
'한국 어린이의 멘토' 소년한국일보가 창간 50주년을 맞아
 
기획 시리즈 '나와 소년한국일보'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본지와 남다른 인연을 가진 분들을 만나 보는
이 시리즈의 다섯 번째로
할아버지 동시인 신현득 선생(78)을 만났습니다. /편집자

"독자에서 시인으로,
그리고 기자로 소년한국일보와 인연을 맺었지요."

할아버지 동시인 신현득 선생은 아동 문학계의 큰 어른이자,
취재부장을 역임한 소년한국일보의 산증인이다.

신현득 선생은 시골의 초등학교 교사 시절,
제자들과 소년한국일보를 즐겨 보며 세상 소식을 들었다.
소년한국일보가 주최한 문학상을 받아
본격적인 시인으로의 길을 걷는다.

1970~80년대에는 소년한국일보의 기자로서
맹활약하기도 한 선생은 지금도 시인이자 독자로서
여전히 소년한국일보와 인연을 맺어 오고 있다.
여든 가까운 나이에 절반 이상인 50년 동안
그의 아침은 언제나 소년한국일보로 시작됐다고 자랑한다.

 

 



 

 

신현득 선생이 소년한국일보의 취재 기자로 활동하던 당시에 쓴 기사. 1976년 11월 9일자 1면에

방정환 선생의 탄신 79돌을 맞아 금관 문화훈장을 받게 된 내용과

방정환 선생의 손자 방일수 씨

(당시 서울 금화초등 6)가

남산에 있던 소파의 동상에

훈장을 걸어 주는

사진을 함께 싣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일간지인 소년한국일보가
1960년 7월 창간될 당시 선생은
상주시 상주초등학교 교사로 재임 중이었다.

"아이들에게 소년한국일보 인기는 대단했어요.
매일 아침 신문이 도착하는 시간이면
어린이들은 환성을 질렀습니다.
읽을 거리를 비롯해 어린이 문화가 거의 없던 그 시절,
 타블로이드판에 아기자기한 기사를 실은 신문에서
어린이들은 나라 안팎 소식을 읽고 이를 이야깃거리로 삼았어요.
또 학습 문제로 공부하고,
과학과 상식, 글짓기까지도 소년한국일보를 통해 배웠고요.
한마디로 소년한국일보는 척박한 어린이 문화에
새싹을 틔운 소중한 씨앗이었던 셈이지요."

선생은 또 소년한국일보가 창간 이듬해인
1961년 마련한 제1회 소년한국 신인문학상에서
'이상한 별자리'로 당선돼
아동 문학가로서 특별한 인연을 맺었다.
이 해에 선생은 첫 번째 동시집 '아기 눈'을 출간했고,
꾸준한 시작 활동을 펼쳐

 1971년엔 '엄마라는 나무'란 동시로 소년한국일보가 제정한 세종아동문학상까지 받는다.

불혹의 나이를 넘긴 42세 때인 1975년에는 취재 기자로

소년한국일보에 입사해 새로운 인연을 이어 간다.

"창작에 전념하기 위해 교사 생활을 접고 서울에 올라 왔는데,

당시 편집국장이던 고 김수남 전 소년한국일보 사장께서

 기자로 일 해 보지 않겠냐고 말씀하시더군요.

소년한국일보라면

어린이를 위한 글쓰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 입사를 하기로 결심했지요."

신현득 선생은 이후

1990년 다시 시인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15년 동안 기자로서

소년한국일보와 희노애락을 함께 했다.

특히 선생이 취재 기자로 활동하던 1970~80년대는

 우리나라 어린이 문화가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시기였다.

 물론 그 중심엔 소년한국일보가 있었다.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는 소년한국일보 어린이 미술 대회와

여름 방학 캠프의 원조격인 소년한국 여름 학교,

비둘기기자 해외 취재, 소년한국 합창단의 해외 공연 등이 대표적이다.

선생은 이 가운데 여름 방학 때마다

남이섬에서 4박 5일간 펼쳐졌던 소년한국 여름 학교가 지금도 생생히 기억난다고 밝혔다.

여름 방학이면 어린이들이 여름 캠프에 참가하기 위해 몰려 들었고,

선착순으로 뽑힌 180여 명의 어린이들은 넓고 푸른 잔디밭과 울창한 숲에서 마음껏 뛰어 놀았다.

또 전문 지도 강사를 초청해 동화 듣기, 노래 배우기, 수영 등을 배우기도 했다.

"그땐 전화도 제대로 없던 터라,

부모님께 편지 쓰는 시간만 되면

어린이들이 눈물을 흘려가며 자신을 반성하는 편지를 쓰곤 했어요.

참 귀엽고 순수한 모습이었지요.

 그때 어린이들은 이제 40대에 접어들었겠네요. 허허."

신 선생은 여름 캠프에 참가했던

순수한 어린이들의 모습이 지금도 선명히 떠오르는 듯 미소를 띠며 당시의 얘기를 들려 주었다.

선생은 이 밖에 해외 여행 자유화가 되기 이전인

 1980년대 초 비둘기 기자들을 이끌고 미국으로 해외 취재를 다녀 왔던 일도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1970~80년대에

소년한국일보는 어린이 문화 발전을 위해 가장 앞장서서 많은 행사를 펼치느라 분주했어요.

편집국의 식구들 모두가 한 가족처럼 어린이들의 권리를 지키고, 문화를 발전시키려 노력한 덕분이지요.
또 공교육에서 못하는 부분을 채워 주자는 기자들의 의욕도

 다른 어린이 신문사들이 따라올 수 없는 우리만의 힘이지요."

신현득 선생은

자신이 몸 담고,

 그리고 이제는 선배로서 지켜 보고 있는 소년한국일보의 이 같은 정신은

창간 때부터 50년이 된 지금까지

 소년한국일보가 늘 어린이 곁에 존재할 수 있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많은 문인들의 동화, 동시 작품이 소년한국일보를 통해 소개되어

어린이들의 고운 정서를 키워 주었을 뿐 아니라
세종아동문학상 등을 통해 아동 문학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지요.

 그 뿐이 아니에요.

신인 만화가를 발굴해 지면을 통해 소개하는가 하면,

길창덕ㆍ신문수ㆍ이상무 등

당대에 내로라하는 만화가들의 작품을 실어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지요.

만화 하나라도 어린이를 늘 염두에 두고 정성껏 고르는 게 바로 소년한국일보의 마음이라고 봅니다."

신 선생이 이제껏 15권이 넘는 동시집과 동화집을 펴내고,
팔순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왕성하게 창작 활동을 펼치는 배경에는

바로 이와 같은 소년한국일보에 몸 담았던 15년의 세월이 자리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지금도 매일 아침 소년한국일보를 보면서

옛일을 떠오른다는 할아버지 동시인 신현득 선생은

소년한국일보 50주년은 아동 문학을 비롯한 어린이 문화 전반에 있어 큰 경사라며,

앞으로도 이 땅의 어린이들이 마음 껏 자랄 수 있도록 큰 힘이 되어 주길 바란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신문에서 어린이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소년한국일보,

 그래서 언제나 어린이와 호흡하고, 순수한 눈으로 바라볼 수 있었어요.

우리 후배 기자들과 임직원들이 앞으로도 힘을 합쳐 좋은 신문을 만들어 줄 것이라 믿습니다.
오는 7월 17일 50번째 생일도 진심으로 축하드리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