作家 · Writer

김제동의서재

강개토 2010. 1. 10. 08:36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l_hty&query=%B1%E8%C1%A6%B5%BF

어쨌든 책은 곧 사람이니까요

서재라는 곳은, 문 열고 들어와서 사람 만나는 데죠.

어쨌든 책이 사람들인거니까요.

그래서 손에 잡히면 ‘아, 오늘은 이분하고 한번 이야기를 해보자’하는, 그런 곳입니다.
책은 덮어놓으면 무생물이지만 펼치는 순간에 생물이 되고. 또 교감까지 하면 친구가 됩니다.

덮어놓으면 작가분도 주무시고 펼치면 작가분도 깨셔야 하고.

어떤 분들은 저보다 연세 드신 분도 있고 또 저보다 아래이신 분도 있고,

알랭 드 보통이라는 분은 69년생이시니까 저하고 다섯 살 정도밖에 차이가 안 나죠.

그런 분들을 만나면 성질나죠.

이 사람이 이런 책을 쓰는 동안에 난 도대체 이태까지 뭘 하고 살았나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저는 팬들에게 책 선물을 많이 받는데, 책은 읽어서 돌려줄 수 있는 선물이라서 좋습니다.

제가 읽어서 말로 돌려 드리든, 다른 사람한테 돌려주든 그럴 수 있으니까요.

지인에게 빼앗아 오는 경우도 많고요.

자꾸 책은 욕심이 나서, 저녁에 라면 안 먹는다고 하고는 누가 라면 끓이면 한 젓가락 뺏어 먹고 싶잖아요?

그런 것처럼 항상 남이 읽는 책에 대해서, 어 이거 뭐지? 하면서 갖고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화 위복이 되었던 것 같아요

제 친구가 초등학교 때 장난친다고 쇠 우산 꼭지로 다리를 콱 찍었거든요.

모르고 놔뒀다가 파상풍이 왔죠. 절단 이야기까지 나와서 당시 외숙모, 외삼촌이 계시던 대구에 있는 큰 병원에 갔습니다.

다행히 절단은 말고, 다리 전체에 깁스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는 삼사 개월동안 꼼짝도 못하고, 학교를 못 다녔습니다.

원래 영천 아이인데 대구에 왔으니 병문안 오는 친구도 없고, 그땐 컴퓨터도 없고. TV도 낮엔 안 했으니…

그때 외숙모 집에 있으면서 사촌형들의 책방에 있던 책들을 거의 선택의 여지 없이 닥치는 대로 읽었던 것 같습니다.

움직일 수가 없었으니까요.

위인전집, 형들이 몰래 숨겨놨었던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죄다 읽었습니다.

그때 책 읽는 버릇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전화위복이 된 셈이지요.

저자의 육성을 상상하여 읽어봅니다

저는 메모하면서 읽는 유형은 아닙니다. 쭉 읽는 스타일입니다.

왜냐하면 책은 어떤 사람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진지하게 들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책은 이미 활자화가 되어 있지만 사실은 작가가 말을 하는 것이잖아요.

저만의 방법이기는 한데, 될 수 있으면 글을 읽으면서 활자와 함께, 저자의 육성을 상상해서 읽어보는 방법을 많이 써보려고 그럽니다.

생생하게 다가올 때가 있어요.

활자가 쓱 걸어 나오는 것 같은 느낌

책 구절을 일부러 기억한다기보다는, 활자가 툭 일어나서, 쓱 걸어 나오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런 구절들을 읽으면 작가분들에게 ‘와, 이런 글을 어떻게 쓰시지!’라는 경외감을 가짐과 동시에 가슴에 남죠.

굳이 외운다기보다는……머리가 그렇게 좋은 편은 못됩니다.
예를 들면, 정확하게 기억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녁이 되면 산도 외로워서 마을로 찾아내려온다> 이런 구절은

‘어, 나도 만날 촌에 있으면서, 그렇게 마을에 해지고 산 그림자 지는걸 보아왔지만, 어떻게 이런 표현이?’라는 느낌이 딱 들면서,

이렇게 표현하실 수 있는 작가분이 부러워집니다.
저희도 다 그런 감정이나 느낌을 가지고 있으되 표현이 안 되는 것 같은데.

우리 안에 있는 걸 이렇게 글로서 형상화 시켜주시니까. 기억에 남는 구절을 써주신 분들한테 고마워해야 하겠지요.

 

<맑은 샘 학교 글모음> 그리고 아이들과 책

그 외에 재미있게 보는 책이요? <맑은 샘 학교, 2008년 글 모음>이 있습니다.

출판된 것은 아니고요. 맑은 샘 학교에서 엮은 책을 저에게 보내주었습니다.

저도 아이들하고 함께 하는 프로그램이 있고 해서, 쭉 읽어봤는데, 되게 웃깁니다.

제가 이렇게 앉아서,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느낀 단상과 자라남을 볼 수 있는 축복이, 책 아니고서 가능하겠습니까.

재미있는 거요? 엄청 많습니다. <2008년 4월 17일, 나무날, 날씨…>, 너무 더웠던 모양입니다.

<말라 죽을 뻔 했다>. (웃음) 아무것도 꾸민 게 없이 툭툭 써 놓은 게 애들답잖아요.
야구는 공수와 운동장의 규격 정도가 정해졌죠.

이 정도 규제 안에서 물론 감독과 코치가 조율은 하지만, 그 안의 경기는 결국 18명의 선수가 하는 것이거든요.

그런 것처럼 큰 틀, 다시 말해서 공간 이외에는 규제 없이 아이들이 읽고 싶은 책,

아이들이 본능적으로 관심을 두는 모든 책을(아주 유해한 도서만 제외하고) 읽게 하고 싶은 것이 제 마음입니다.

이 아이가 소통하고 싶은 부분과 소통하고, 읽다가 재미없으면 덮고, 어른인 저도 그렇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필독 도서라는 말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더더욱 이해할 수 없는 말은 금서이고요. 이런 강제가 아이에게 억압과 화로 남아서는 안될 것 입니다.

노브레이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

네, 노브레이크라는 토크 콘서트를 진행하면서,

책 읽어주는 코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가 아이디어를 낸 부분이고요, 주로 <지식 e>라는 이 책에서 발췌합니다.

이 책은 단편적인 사실에 대한 단상을 많이 담고 있는데,

거기서 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구절을 만났을 때,

‘제 의견은 이러하니 여러분 의견은 어떻습니까?’ 하고 관객분들에게 말씀드려 보는 거죠.

 200여 분의 관객들도 거기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을 주시는 것이고요.

 지난주에는 이 책에 나오는 팀 버튼에 관한 이야기로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책 이야기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제가 읽어서 좋은 구절이므로 소개해드리고 싶은 것이지요.

좋은 친구한테 좋은 친구 있으면 서로 연결해주고 싶잖아요. 그게 이성이든 동성이든 말이에요.